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코딩

자바스크립트 기초문법(변수,사칙연산,참거짓) |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코딩

ZNOS 2020. 8. 10. 10:10
반응형

[크롬 개발자도구(F12)]를 열어서, console 탭에 작성을 하자

크롬 개발자도구 콘솔창은 띄워놓은 페이지에서 빠르게 자바스크립트를 테스트해볼 수 있게, 개발자들을 위해 만들어둔 도구입니다(새로고침하면 모두 사라짐)

 

콘솔창에 아래 코드를 붙여놓고 엔터를 쳐보자

console.log("Hello World!");

 

Hello World!가 출력되었다

 

여기서 console.log(); 는 ()안에 있는 변수를 출력하라는 의미이다. 내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함수를 빠르게 테스트 해 볼 수 있다.

 

let temp = 20
console.log(temp);

temp = 'Harry'
console.log(temp);

 

위의 코드를 분석해 보자.

1) let temp = 20 → temp라는 변수를 20 이라고 하자(let 함수) 

2) console.log(temp); → temp의 값은 무엇인가? 

temp를 20이라고 했기 때문에 값은 20이 나온다. 

 

1) let temp = 'Harry' → temp라는 변수를 Harry라고 하자(문자일 경우 작은따옴표를 써줘야 한다)

2) console.log(temp); → temp의 값은 무엇인가? 

temp를 'Harry'라고 했기 때문에 값은 Harry가 나온다.

 

* console창에서 화살표키 ↑를 누르면 방금 전에 작성했던 내용을 불러오기 할 수 있다

 

기본연산

let num1 = 1
let num2 = 2

console.log(num1 + num2)

 

이번에는 사칙연산을 해보자. 위의 코드를 해석하면

num1을 1이라고 하고, num2를 2라고 하면, num1+num2의 값은?

이다. (값 : 3)

 

let firstName = 'Harry'
let lastName = 'Potter'

console.log(firstName + lastName)

 

이번엔 문자를 합쳐보자. 위의 코드를 해석하면

firstName을 'Harry'라고 하고, lastName을 'Potter'라고 할 때, firstName+lastName의 값은?

이다. (값 : HarryPotter)

 

띄어쓰기를 넣고 싶다면 console.log(firstName + '' + lastName) 이렇게 ''빈칸을 넣어주면 된다

(값 : Harry Potter)

 

* console.log(lastName + num1)처럼 문자+숫자를 하면 숫자를 문자로 바꾼뒤 수행하게 된다.

 

참,거짓

let myTruth = (2 > 1);
let myFalse = (2 < 1);

console.log(myTruth); // true
console.log(myFalse); // false

let age = 30;

myTruth = (age == 30); // 같다 ( == )
console.log(myTruth);

myTruth = (age != 40); // 다르다 ( != ) !는 not을 의미합니다
console.log(myTruth);

 

let myTruth = (2 > 1);  →  myTruth라는 함수를 2>1(참,true)라고 하자
let myFalse = (2 < 1);  →  myFalse라는 함수를 2<1(거짓,False)라고 하자 (3<1, 4<1 숫자를 바꿔도 상관 없습니다)

console.log(myTruth)의 값은 true가 나오고 console.log(myFalse)의 값은 false가 나옵니다.

 

let age = 30  →  age라는 변수의 값을 30이라고 하자

myTruth = (age == 30);  →  age가 30과 같은 것을 myTruth라고 하자(myTruth 를 새로 정의하였다) 
(let이 없어도 a=b라고 하면 'b라는 값이 a라고 하자'라고 해석된다.)

Console.log(myTruth);  → myTruth의 값은?
(age를 30이라고 했었고, age가 30과 같은 것(참, true)이 myTruth이기 때문에 값은 true가 나온다)

 

myTruth = (age != 40);  →  age가 40과 다른 것을 myTruth라고 하자(myTruth 를 또 새로 정의하였다) 

Console.log(myTruth);  → myTruth의 값은?
(age를 30이라고 했었고, age가 40과 같은 것(참, true)이 myTruth이기 때문에 값은 true가 나온다)

 

 

다음 시간에는 자료형(Data Type) - 리스트(List) & 딕셔너리(Dictonary) 에 대해서 알아보겠다.

 

공감 부탁 드려요 :)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