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코딩

자바스크립트 기본 함수(return 함수) |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코딩

ZNOS 2020. 8. 10. 13:20
반응형

자바스크립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여러 함수들을 보자

 

  • 나눗셈의 나머지 구하기[%]
let a = 20;
let b = 7;

console.log(a % b); // 6

 

  • 알파벳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꾸기[toUpperCase()]
let myClub = 'abcde';
console.log(myClub); //'abced'

let upperCase = myClub.toUpperCase(); 
console.log(upperCase); // ABCDE

 

  • 특정 문자로 문자열 나누기[split('')]
let myEmail = 'znos@gmail.com';

let result = myEmail.split('@'); // ['znos','gmail.com']

console.log(result[0]); // znos
console.log(result[1]); // gmail.com

let domain = result[1].split('.'); // ['gmail','com']

console.log(domain[0]); // gmail -> 우리가 알고 싶었던 것!
console.log(domain[1]); // com

let mailDomain = myEmail.split('@')[1].split('.')[0]; // gmail -> 간단하게 쓸 수도 있다!
console.log(mailDomain);

 

let myEmail = 'znos@gmail.com';  →  myEmail을 znos@gmail.com라고 하자

let result = myEmail.split('@');  →  myEmail을 '@'를 기준으로 나눈것을 result라고 하자
(['znos', 'gmail.com']의 리스트함수로 된다)

console.log(result[0]);  →  result함수의 0번째 값은?
(['znos', 'gmail.com']의 리스트함수에서 0번째 값은 znos이다)

let domain = result[1].split('.'); →  result함수의 1번째 값을 '.'을 기준으로 나눈것을 domain이라고 하자
(1번째 값은 'gmail.com'이고, 그걸 '.'을 기준으로 나누면 ['gmail', 'com']의 리스트함수가 된다)

console.log(domain[0]); →  domain함수의 0번째 값은?
(['gmail', 'com']의 리스트함수에서 0번째 값은 gmail이다. 다르게 표현하면 console.log(result[1].split('.')[0]);이다)

 

  • 문자열 합치기[.join('')]
let txt = '서울시-마포구-망원동'
// 특정 문자('-')로 나누기
let names = txt.split('-'); // ['서울시','마포구','망원동']
console.log(names);

// 특정 문자('>')로 합치고 싶은 경우

let resultAddress = names.join('>'); // '서울시>마포구>망원동' (즉, 문자열 바꾸기!)
console.log(resultAddress);

 

let resultAddress = names.join('>'); →  names라는 함수의 값들을 '>'라는 문자열로 이어붙이는 함수를 resultAddress라고 하자
(names는 ['서울시','마포구','망원동']이므로 결과값은 '서울시>마포구>망원동'이 된다)

 

 

함수 기본 생김새

 

function 함수이름(필요한 변수들) {
	내릴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작성
}
함수이름(필요한 변수들);

 

예시를 통해 이해해보자

 

// 두 숫자를 입력받으면 더한 결과를 돌려주는(return) 함수
function sum(num1, num2) {
	console.log('첫번째숫자: ', num1, ', 두번째숫자: ', num2);
	return num1 + num2;
}

sum(3, 5); // 8

sumResult = sum(4, -1);
console.log(sumResult); // 3

 

function sum(num1, num2)  →  sum이라는 이름의 함수 선언. 필요한 변수는 num1, num2이다

console.log('첫번째숫자: ', num1, ', 두번째숫자: ', num2);  →  sum 함수를 출력 할 때 '첫번째숫자:'라는 문자 뒤에 num1값을 출력하고, ',두번째숫자:'라는 문자 뒤에 num2값을 출력해라

return num1+ num2  →  return함수 선언. num1과 num2의 합도 출력해라

sum(3,5);  →  num1은 3이고 num2는 5인 sum함수를 작동시켜라

(그러면 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온다)

 

sumResult = sum(4, -1);
console.log(sumResult);

→  이런식으로 num1은 4이고 num2는 -1인 sum함수를 sumResult라는 함수라고 선언하고, sumResult라는 함수의 값을 출력해도 된다. 이 경우엔 return 값인 3만 나오게 된다.

return값만 출력된다

 

// 출생년도와 계산하고 싶은 연도를 입력받아 나이를 계산해 돌려주는(return) 함수
function calculateAge(calYear, birthYear) {
	console.log('출생년도: ', birthYear, ', 계산하고 싶은 연도: ', calYear);
	return calYear - birthYear;
}

let calAge = calculateAge(2020, 1980);
console.log(calAge); // 40

 

이번에는 위의 코드를 콘솔창에서 실행시켜 보자

 

console.log(calAge) 결과값

 

위와 같이 calYear 에서 birthYear을 뺀 return값이 출력된다.

 

다음 포스팅에서는 조건문, 반복문을 알아보겠다.

 

공감 부탁 드려요 :)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