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코딩

python(파이썬) 기초_print, naming, def(함수) |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코딩

ZNOS 2020. 8. 17. 00:20
반응형

Javascript에서 배웠던 요소들을 파이썬에서도 배워보자

 

print - 출력하기

자바스크립트에서는 브라우저 콘솔창에서 console.log()를 이용하여 값을 출력해보며 식이 맞는지 확인했었다
파이썬에서는 pycharm 프로그램에서 print()를 이용하여 출력을 한다

print('출력할 값')을 작성하고 run(ctrl+shift+F10)을 누르면 된다

 

naming - 이름짖기

파이썬에서는 snake style을 사용한다 (ex) first_name)
cf. camel case : firstName

 

변수 & 기본연산

자바스크립트보다 간단하다

a = 3  # a를 3이라고 하자
print(a) # 값은 3

b = a  # a를 b라고 하자
print(b) # 값은 3

a = a + 1  # a를 a+1라고 하자
print(a) #값은 4

num1 = a * b  # num1을 a*b라고 하자
print(num1) # 값은 12

num2 = 99  # num2를 99라고 하자
print(num2) # 값은 99

let a =3;에서 처럼 let이나 ;를 쓰지 않고도 간단하게 표현이 된다

식을 비활성화 시키려면 #을 붙이고 글자를 작성하면 된다

 

자료형(dictionary)

name = 'Harry'  # 변수에는 문자열이 들어갈 수도 있고,
print(name)

num = 12  # 숫자가 들어갈 수도 있고,
print(num)

number_status = True  # True 또는 False -> "Boolean"형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.
print(number_status)

 

리스트형(list)

a_list = []  # 비어있는 리스트 만들기
a_list.append(1)  # 리스트에 값을 넣는다
print(a_list)

a_list.append([2, 3])  # 리스트에 [2,3]이라는 리스트를 다시 넣는다
print(a_list)

# print 로 값 확인해보기
# a_list의 값은? [1,[2,3]]
# a_list[0]의 값은? 1
# a_list[1]의 값은? [2,3]
# a_list[1][0]의 값은? 2

 

a_list.append(1)   →   append는 해당 태그의 끝에 ()안의 값을 추가하는 함수. 따라서 a_list의 마지막에 1을 넣은 것

a_list[0]의 값은?  →   코딩에서 리스트는 0번째 부터 시작이다. 처음의 값은 1번이 아니라 0번이다.

 

wizards = [{'name': 'Harry Potter', 'age': 40}, {'name': 'Ron Weasley', 'age': 40}]
print(wizards)

# wizards[0]['name']의 값은? 'Harry Potter'
# wizards[1]['name']의 값은? 'Ron Weasley'

new_wizard = {'name': 'Albus Potter', 'age': 14}
wizards.append(new_wizard)
print(wizards)

# wizards의 값은? [{'name':'Harry Potter','age':40}, {'name':'Ron Weasley','age':40}, {'name':'Albus Potter','age':14}]
# wizards[2]['name']의 값은? 'Albus Potter'

 

 

함수(def)

자바스크립트에서 function을 사용했다면 파이썬에선 좀 더 간결하게 def를 사용한다(definition)

# 함수만들기
def 함수이름(필요한 변수들) :
	내릴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작성

# 사용하기
함수이름(필요한 변수들)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def sum_all(a, b, c):
    return a + b + c


def mul(a, b):
    return a * b


result = sum_all(1, 2, 3) + mul(10, 10)

def sum_all(a, b, c):    →   sum_all이라는 함수는 a,b,c의 변수를 가진 함수이고
     return a + b + c    →   a+b+c를 계산한다

def mul(a, b): →   mul이라는 함수는 a,b의 변수를 가진 함수이고
     return a * b  →   a*b를 계산한다

result = sum_all(1, 2, 3) + mul(10, 10)  →   result는 1,2,3의 변수를 가진 sum_all함수와 10,10의 변수를 가진 mul함수의 합이다
(1+2+3) + (10*10) = 106

print(result)를 실행시키면 106이 나온다

 

이와 같이 기본 형태를 알아봤고, 다음 포스팅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을 알아보도록 하겠다

 

 

공감 부탁 드려요 :) 

반응형